국도 제54호선(US 54)은 미국을 동서로 횡단하는 국도로, 총 연장은 약 1,940km이다. 텍사스주 엘파소에서 시작하여 뉴멕시코, 텍사스 팬핸들, 오클라호마, 캔자스, 미주리를 거쳐 일리노이주까지 이어진다. 주간고속도로 10호선, 40호선, 70호선, 72호선 등 여러 주간 고속도로와 교차하며, 뉴멕시코주에서는 미국 70번 국도와, 캔자스주에서는 미국 400번 국도와 중첩된다. 일리노이주에서는 챔프 클라크 다리를 통해 미시시피 강을 건너며, 과거에는 시카고까지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일리노이주 그리그스빌 남서쪽에서 끝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클라호마주의 도로 - 국도 제69호선 (미국) 국도 제69호선은 텍사스주의 포트아서에서 미네소타주의 앨버트 리까지 이어지는 미국의 남북축 국도로, 6개 주를 통과하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다양한 도로와 교차하며 여러 특별 노선을 포함한다.
오클라호마주의 도로 - 국도 제70호선 (미국) 미국 국도 제70호선은 애리조나주 글로브에서 노스캐롤라이나주 애틀랜틱까지 8개 주를 횡단하는 총 길이 약 3,382km의 주요 동서 도로로, 초기 도로망 계획 시기에 "리 하이웨이"로 불렸으며, 1964년 캘리포니아 구간은 폐지되었고 테네시주에는 두 개의 추가 분기 노선이 존재한다.
캔자스주의 도로 - 국도 제36호선 (미국) 국도 제36호선(미국)은 콜로라도주에서 오하이오주까지 이어지는 미국의 국도로, 로키산 국립공원에서 시작하여 포니 익스프레스 고속도로 구간을 포함하며 각 주를 가로지르는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콜로라도주의 덴버-볼더 턴파이크 구간은 주요 간선 고속도로 역할을 한다.
캔자스주의 도로 - 국도 제83호선 (미국) 국도 제83호선은 미국 중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주요 도로로, 텍사스주에서 노스다코타주까지 6개 주를 지나며 미국-멕시코 국경과 캐나다-미국 국경을 연결한다.
뉴멕시코주의 도로 - 국도 제70호선 (미국) 미국 국도 제70호선은 애리조나주 글로브에서 노스캐롤라이나주 애틀랜틱까지 8개 주를 횡단하는 총 길이 약 3,382km의 주요 동서 도로로, 초기 도로망 계획 시기에 "리 하이웨이"로 불렸으며, 1964년 캘리포니아 구간은 폐지되었고 테네시주에는 두 개의 추가 분기 노선이 존재한다.
54번 국도는 텍사스주엘패소 도심의 순환 고속도로 375(패트리어트 고속도로)에서 시작한다. 이 도로는 엘패소 도시권의 주요 고속도로 역할을 하며, 프랭클린 산맥의 동쪽 경사면을 따라 남북으로 뻗어 있다. 고속도로는 약 약 32.19km 길이로 도시를 통과하여 뉴멕시코 주 경계에 도달한다. 또한 이 도로는 포트 블리스와 홀로먼 공군 기지를 연결하는 군사 연결로의 역할도 수행한다.
2. 2. 뉴멕시코 주
US 54번 국도는 뉴멕시코 주의 채퍼럴에서 시작하며, 이곳은 엘파소 (텍사스) 도시권의 일부이다. 이 도로는 엘파소의 포트 블리스와 앨러모고도의 호로먼 공군 기지를 연결하는 군용 고속도로 역할을 한다(US 70번 국도 경유).
주 경계에서 앨러모고도 남쪽 약 16.09km 지점까지는 분리된 고속도로 구간으로, 제한 속도는 시속 75마일이다. 다만, 오로그런데에는 시속 35마일 제한 구역이 있다. 앨러모고도에 들어서면 US 54번 국도는 US 70번 국도와 중첩된다. 이 중첩 구간은 앨러모고도 북쪽 끝(라 루스 근처)에서 US 82번 국도의 시작점과 교차한다. 앨러모고도에서 툴라로사까지의 제한 속도는 시속 60마일이며, 툴라로사 북쪽에서는 시속 55마일로 낮아진다. 툴라로사 북쪽에서 US 70번 국도와의 중첩이 끝나고, 도로는 다시 분리되지 않은 2차선 도로가 된다.
이후 도로는 뉴멕시코 주의 중앙부를 따라 북쪽으로 이어진다. 카리조조를 지나며 US 380번 국도와 교차한다. 그 뒤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본으로 향한다. 본에서는 US 60번 국도 및 US 285번 국도와 잠시 중첩된다. 본을 지나면서 US 285번 국도는 남쪽으로, US 60번 국도는 남동쪽으로 각각 갈라진다.
US 54번 국도는 계속 북동쪽으로 진행하여 산타로사에 이르러 주간고속도로 40호선(I-40)과 만나 중첩된다. I-40과의 중첩 구간은 투컴캐리까지 약 약 94.95km 동안 이어진다. 투컴캐리에서 I-40과 분리된 후, US 54번 국도는 나라 비사를 지나 텍사스 주로 넘어간다.
뉴멕시코 주 내에서 US 54번 국도의 총 길이는 약 약 569.71km이며, 주 내에서는 남북 방향 노선으로 표시된다.
2. 3. 텍사스 주 (팬핸들)
이 도로는 뉴멕시코주 나라 비사(Nara Visa)를 지나 텍사스 팬핸들 지역으로 다시 진입하며, 북동쪽으로 약 148.06km를 달려 오클라호마 주 경계까지 이어진다. 팬핸들 지역에서 국도 제54호선이 통과하는 주요 도시는 달하트와 스트랫퍼드이다.
2. 4. 오클라호마 주
54번 국도는 오클라호마 팬핸들을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통과한다. 텍소마에서 시작하여 굿웰을 거쳐 북동쪽으로 진행한 후 가이먼에 들어선다. 가이먼에서는 412번 국도와 교차하고 64번 국도와 중첩된다. 이후 옵티마와 후커를 거쳐 북동쪽으로 계속 이동하며, 후커에서 64번 국도는 동쪽으로 방향을 튼다. 타이론을 지나 북동쪽으로 더 나아가면, 캔자스주 리버럴에 도착하기 직전에 캔자스 주로 진입한다.
2. 5. 캔자스 주
캔자스주 포트 스콧에서 US 69/K-7과 교차하는 US 54
미국 국도 제54호선(US 54)은 오클라호마주에서 캔자스주 세워드 군으로 진입하여 리버럴과 플레인스를 통과한다. 이후 미드 군에서 US 160과 만나 중첩 구간이 시작된다. 미드 시 동쪽에서 US 54는 US 160에서 갈라져 나와 미드 군과 포드 군을 북동쪽으로 지나간다. 키오와 군의 멀린빌에서는 US 400과 만나 긴 중첩 구간이 시작된다.
US 54/US 400은 그린즈버그, 프랫, 커닝햄, 킹먼을 거쳐 주로 2차선 도로로 이어진다. 프랫에서는 엘패소부터 약 965.60km 이상 US 54와 평행하게 이어져 오던 유니언 퍼시픽 철도 선로가 북동쪽(토피카 방향)으로 방향을 틀어 US 54 경로에서 벗어난다. 킹먼 군 동부를 지나면서 도로는 분리된 고속도로 형태가 된다. 킹먼에서 세지윅 군의 가든 플레인까지는 고속도로 기준을 충족하지만, 고다드를 지나 위치타에 가까워지면서 평면 교차로가 있는 일반 간선도로로 바뀐다.
이 도로는 위치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국립공항 인근 위치타 시 경계에서 다시 고속도로 형태로 시작된다. 위치타 시내에서 US 54/US 400은 켈로그 애비뉴(Kellogg Avenue)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I-235, I-135, I-35(캔자스 턴파이크) 및 K-96과 교차한다. 켈로그 애비뉴의 고속도로 구간은 6차선이며, 위치타 서쪽의 111번가에서 I-35/캔자스 턴파이크 교차로 직후의 젤타(Zelta)까지 약 약 24.14km에 걸쳐 이어진다. 켈로그 애비뉴를 일반 간선도로에서 고속도로로 개선하는 공사는 1980년대 중반부터 계속되었으며, 가장 최근의 교차로 개선 공사는 2019년 말에 완료되어 개통되었다. 도로명은 1870년 위치타의 첫 민간 우체국장이었던 상인이자 남북 전쟁 참전 용사인 밀로 베일리 켈로그(Milo Bailey Kellogg)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US 54와 US 400의 중첩 구간은 버틀러 군의 오거스타까지 이어진 후, US 400은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미주리주 경계로 향한다. 반면 US 54는 엘도라도를 통과하며 US 77과 잠시 중첩된다. 엘도라도 이후 US 77은 북쪽 정션 시티 방향으로 분기하고, US 54는 동쪽으로 계속 이어져 그린우드 군과 우드슨 군의 시골 지역을 통과한다. 이후 아이올라와 포트 스콧을 지나 버본 군에서 캔자스주를 벗어나 미주리주네바다 시로 들어선다.
2. 6. 미주리 주
미주리주에서 국도 제54호선은 주의 남서부에서 북동부 방향으로 이어진다. 이 도로는 오자크 산맥을 통과하는 주요 경로이며, 폼 드 테르 호와 오자크 호로 가는 중요한 접근로 역할을 한다.
미주리주로 들어서면, 도로는 네바다, 엘도라도 스프링스, 허미티지를 차례로 통과한다. 하하 톤카 주립공원 바로 북쪽에서 오자크 호를 처음으로 건너고, 캠던턴을 지나 오사지 비치의 그랜드 글레이즈 다리에서 호수를 두 번째로 건넌다. 이후 엘든을 우회하여 주도인 제퍼슨 시티로 들어선다.
제퍼슨 시티에서는 제퍼슨 시티 다리를 이용해 미주리 강을 건너며, 이 구간에서 잠시 US 63호선과 노선이 겹친다. 다리 북쪽에서 US 63호선과 분기된 후 풀턴을 통과하고, 킹덤 시티에서 고속도로 70호선과 교차한다. 멕시코 시는 우회하여 지나간다.
그 후 래도니아를 통과하는 19번 고속도로와 잠시 노선을 공유하고, 반달리아 북쪽을 지나간다. 최종적으로 챔프 클라크 다리를 통해 미시시피 강을 건너 일리노이주의 루이지애나로 이어진다.
제퍼슨 시티 다리
2. 7. 일리노이 주
일리노이주에서 54번 국도는 미시시피강을 건너는 챔프 클라크 다리에서 시작하여 그리그스빌 남서쪽의 72번 주간 고속도로 종점까지 이어진다. 과거에는 동쪽 종점이 72번 주간 고속도로로 단축되기 전까지 기존 도로들을 따라 북동쪽으로 이어졌는데, 이 경로에는 현재의 일리노이 주도 54선, 일리노이 주도 50선, 그리고 거버너스 하이웨이가 포함되었으며, 시카고 시내의 미시간 애비뉴와 레이크 쇼어 드라이브에서 끝났다. 일리노이주 내에서는 전 구간이 시골길이며, 2차선 도로이다. 일리노이주에서 54번 국도의 길이는 약 38.56km이다.[2]
3. 통과하는 도로
미국 국도 제54호선은 텍사스에서 일리노이까지 이어지는 동안 여러 주간고속도로 및 다른 국도와 교차하거나 노선을 공유한다. 주요 교차 및 중첩 도로는 각 주별 경로에서 확인 가능하며, 하위 섹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과거 36번 국도와 현재 캔자스시티로 가는 노선의 분기점. 현재 54번 국도는 캔자스시티로 가는 구 노선을 따른다. 일리노이 주도 106번은 36번 국도의 구 노선을 따른다.
4. 1. 일리노이주
미국 54번 국도는 원래 현재의 일리노이 주도 106번(구 미국 36번 국도의 일부) 교차점에서 끝났다.[3] 1935년에는 미주리주 루이지애나와 일리노이주 뉴 하트퍼드 사이의 일리노이 주도 107번 일부 구간을 대체했다.[4]
1942년부터 1971년까지 미국 54번 국도는 시카고 시내까지 연장되었다.[5][6] 이 연장 구간은 미국 36번 국도, 일리노이 주도 54번, 미국 45번 국도, 일리노이 주도 50번, 거버너스 하이웨이(Governors Highway), 우드 스트리트(Wood Street), 127번가(127th Street), 할스테드 스트리트(Halsted Street), 빈센스 애비뉴(Vincennes Avenue), 스테이트 스트리트(State Street), 미시간 애비뉴(Michigan Avenue)의 일부를 포함했다.[6][7] 그러나 1971년 이후, 노선은 다시 이전의 북쪽 종점으로 단축되었다.[6]
피츠필드(Pittsfield) 북동쪽에 있는 미국 36번 국도의 4차선 구간은 현재 인터스테이트 72번을 통해 스프링필드까지 이어진다. 1992년 기준으로 미국 54번 국도는 미국 36번 국도와 현재의 I-72(35번 출구)까지 북동쪽으로 연장되었다. 같은 해, 스프링필드를 통과하던 일리노이 주도 54번 구간은 더 이상 번호가 매겨진 고속도로로 지정되지 않았다.[8]
현재 일리노이 주도 54번은 인터스테이트 55번 출구에서 시작하여 북동쪽으로 오나르가까지 이어지며, 이곳에서 미국 45번 국도와 만난다. 과거 미국 54번 국도는 미국 45번 국도와 함께 캉카키까지 이어졌으나, 현재 이 구간의 일부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길먼까지는 미국 45번 국도 단독 구간이 되었다가, 길먼을 통과하며 미국 45번 국도와 미국 24번 국도가 중첩된다. 이후 미국 52번 국도와 일리노이 주도 49번이 만나는 사거리 교차로까지 다시 미국 45번 국도 단독 구간이 되고, 캉카키를 통과하는 구간은 미국 45번 국도와 미국 52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다. 캉카키와 모니 사이의 과거 미국 54번 국도 구간은 현재 일리노이 주도 50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5. 관련 국도
국도 제154호선
참조
[1]
웹사이트
U.S. Route Number Database
http://nchrp20-7-228[...]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2011-02-05
[2]
웹사이트
T2 GIS Data
http://www.dot.state[...]
2007-11-08
[3]
간행물
2020-09-13
[4]
간행물
2020-09-13
[5]
간행물
2020-09-13
[6]
간행물
2020-09-13
[7]
간행물
2020-09-13
[8]
간행물
2020-09-13
[9]
서적
The Road Atlas
Rand McNall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